본문 바로가기
건강/영양소

WPC? WPI? 나에게 맞는 보충제는?

by 원블로거 2020. 4. 10.
반응형

WPC와 WPI의 차이점ㅣ

WPC는 농축 유청 단백질입니다.
WP를 한번 가공하여 만든 것이 WPC입니다.
단백질 함량이 78~82%로 우유의 유당 지방이 높은 편입니다.

WPI는 분리유청 단백질입니다.
WPC를 한 번 더 가공한 것이 WPI입니다.
WPC를 한 번 더 가공하였기에 단백질 함류량이 더 높아졌지만 가격도 비례해서 더 높아집니다.
WPI의 단백질 함량은 90% 이상의 함량을 가지고 있으며 유당과 지방의 양이 상대적으로 적습니다.

 
두 제품의 가장 큰 차이는 유당불내증을 앓고 있는 사람이 먹을 수 있나 없나의 차이입니다.
단순히 정리하면 WPC 제품은 유당불내증이 없는 사람이 섭취하면 문제가 없고
WPI제품은 유당불내증이 있는 사람이 먹어도 트러블이 없는 제품입니다.
 

유당불내증이란?ㅣ

소장의 유당 분해효소 결핍 때문에 유당의 분해와 흡수가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아 대장 내에서 유당은 수분을 흡인함과 동시에 대장의 세균성 유당 분해에 의해 포도당 그리고 유산이 되며 이 때문에 대장의 연동운동이 자극되어 설사, 가스에 의한 장 팽만 시에 복통 등의 증상을 일으킴.
[네이버 지식백과] 유당불내증 [lactose intolerance, 乳糖不耐症, にゅうとうふたいしょう] (농업용어사전: 농촌진흥청)

쉽게 말해 유당불내증을 앓고 있다면 우유를 먹었을 시에 배가 아프고 몸에 맞지 않기에 조금 더 비싸더라도 WPI제품을 드시는 게 좋고 우유를 먹어도 아무 이상 없다면 WPC, WPI 원하시는 제품을 섭취하시면 됩니다.
일반적으로 보충제는 우유에 태워먹는 것이 조금도 맛이 좋고 단백질 흡수에 효과적이지만
당연히 유당불내증을 앓고 계신다면 WPI제품을 섭취하시더라도 우유에 태워먹으시면 안 되겠죠?
 
이제 자신에게 어떤 타입의 보충제가 맞는지 알았으면 보충제 추천을 보러 가시는 걸 추천합니다.

 

반응형